스포가 포함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최근에 인사이드아웃 2를 보고 왔습니다.
이번 영화는 13살 라일리의 사춘기
감정을 다루고 있으며,
특히 새로운 감정인 ‘불안’ 캐릭터가
인상 깊었습니다.

실제로 사춘기는 뇌가 급격히 변화하는
시기라고 들었는데, 영화에서는
이를 재미있게 표현했습니다.
조종실 유리를 깨부수고 들어와
새롭게 재구성하면서
다양한 감정들이 한꺼번에 등장하는 장면은
사춘기의 혼란과
급격한 변화를 상징적으로 표현했습니다.
불안. 미래를 대비하는 필수 감정
불안이라는 감정은 미래를 예측하고
대비하기 위해 존재합니다.
이는 생존에 필수적이지만, 과도할 경우
공황장애와 같은 불안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영화에서는 이 과정을 아주 쉽게 표현했죠.
불안은 뇌의 편도체와 관련이 깊습니다.
편도체는 감정 처리와 기억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위협을 인지하고
반응하는 데 중추적인 기능을 합니다.
신념 형성의 뇌과학
영화에서 신념이 형성되는 과정은
뇌의 시냅스가 연결되고
신경망이 형성되는
과학적 부분을 흥미롭게 묘사했습니다.
예를 들어, '나는 좋은 사람이야'라는 단순한 신념이
'나는 왜 이 모양이지?'라는 신념으로 변하는 과정은
뇌의 가소성과 연관이 있습니다.
뇌 가소성은 경험과 학습을 통해
신경회로가 변화하고 적응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라일리의 자아가 형성되는 모습은
매우 철학적이면서도 과학적인 심리를 잘 표현했습니다.
자아 형성과 다면적 인간
사람들은 보통 자신을
한 가지 면으로 보려고 합니다.
그러나 사람은 상황에 따라 착하기도 하고
이기적이 되기도 합니다.
이런 상반된 두 모습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것이 인간입니다.
이러한 다양한 면을 잘 통합하는 것이
가장 건강한 사람의 모습입니다.
철학적으로 이는 자기통합(self-integration)이라는
개념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영화는 라일리의 이야기를 통해 이 개념을 쉽게 전달합니다.
어려운 개념을 쉽게 표현한 영화
어려운 개념을 쉽게 표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데,
이 영화는 그걸 멋지게 해냈습니다.
예를 들어, 신념의 변화 과정은
심리학의 핵심 이론 중 하나인
인지 재구성(cognitive restructuring)을 반영합니다.
인지 재구성은 부정적 사고 패턴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진정한 성장의 길로 가는 길 - 사춘기
인사이드아웃 2는 사춘기의 혼란과 불안을
과학적이고 심리학적으로 깊이 있게 표현한 영화입니다.
이를 통해 감정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다양한 감정을 통합하는 건강한
자아 형성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라일리의 이야기는 사춘기 청소년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가 겪는 감정의 여정을 보여주며,
감정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 영화는 어려운 심리학적, 철학적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감정에 대한 깊은 이해를 보여줍니다.
아직 못 보신 분들에게는 강력 추천합니다!
'내 머릿속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각의 착각: 단순화와 고정관념에서 벗어나기 (0) | 2024.07.22 |
---|---|
개근거지 ? 뜻 - 사회적 배경 및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분석 (0) | 2024.07.12 |
별자리 궁합으로 본 최상의 커플 조합 (0) | 2024.07.12 |
별자리 성격- 태어난 날이 운명을 좌우한다? (0) | 2024.07.08 |
"인사이드 아웃" 영화 리뷰: 감정의 진정한 의미를 다시 보다 (0) | 2024.07.07 |